휴대폰 분실 후 전원 꺼짐, 도난인가? 점유이탈물횡령죄 성립 요건과 대처법

1. 점유이탈물횡령죄란?

우리나라 형법 제360조에 따르면 “점유자가 잃어버린 물건을 습득한 자가 그 사실을 알면서도 반환하지 않고 임의로 처분하는 경우”, 이를 점유이탈물횡령죄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즉, 누군가의 물건이라는 걸 알면서도 돌려주지 않고 자신이 쓰거나 팔아버리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실제로 휴대폰처럼 소지자의 개인 정보와 민감한 데이터가 담긴 물건을 주워서 연락도 하지 않고 전원을 꺼버리는 행동은 법적으로 매우 엄중하게 다뤄집니다.


2. 휴대폰 전원이 꺼졌다면? 의심 정황

이번 사례처럼,

  • 분실된 휴대폰이 위치추적 결과 엉뚱한 곳에 있음

  • 전원이 꺼진 시점이 분실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 전원이 꺼진 뒤 연락이 일절 되지 않음

이라는 정황이 있다면 단순 분실이 아닌 제3자의 개입이 강하게 의심됩니다. 특히 위치정보가 본인이 이동하지 않은 지역에서 멈췄다면 누군가 습득한 후 의도적으로 사용을 차단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3. 경찰서에서는 어떤 수사가 가능한가?

많은 분들이 묻습니다.
“경찰서에 가면 CCTV를 확인해주나요?”
“경찰이 수사까지 해줄까요?”

정답은 가능하다입니다. 다만 전제가 있습니다. 단순 분실이 아닌 범죄 혐의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입니다.

수사 요청 가능 항목

  • CCTV 열람 요청 (분실 장소 인근, 이동경로 포함)

  • 기지국 접속 이력 확인

  • 위치추적 서비스 결과 제출

  • 통신사 기록 확보 요청 (IMEI 바탕)

이러한 자료를 갖고 형사과에 정식으로 고소장 또는 진정서를 접수하면, 담당 수사관이 증거 판단 후 수사를 개시하게 됩니다.

4. 어떤 자료를 준비해야 하나요?

경찰 신고 및 고소 시에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철저히 준비해가야 수사 개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위치추적 이력 및 위치 지도 캡처

  • 분실 시간과 장소 정리 (예: 4월 30일 오후 9시 강남역 6번 출구 인근)

  • 휴대폰 기종, 색상, 고유번호(IMEI)

  • 분실신고 접수 내역 (통신사 고객센터 요청 가능)

  • 통화기록/메시지/카톡 등 관련 정황

5. 점유이탈물횡령죄가 성립되면 처벌은?

점유이탈물횡령죄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상대가 고의성이 뚜렷하고, 특히 습득 후 휴대폰 초기화나 중고 판매 등 추가 행위가 있었다면 더욱 무겁게 판단될 수 있습니다.

단, 초범이고 반성의 여지가 있다면 기소유예 또는 약식 벌금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소액 벌금이라도 전과 기록이 남는 형사처벌이므로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문제입니다.

6. 민사적 손해배상도 가능할까?

형사처벌과는 별개로, 분실폰의 가격 및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손해가 발생했다면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형사 처벌이 우선된 후 합의 등의 형태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결론: 나의 권리는 내가 챙겨야 한다

휴대폰을 분실했다면, 그 자체로도 충분히 당황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거기에 제3자의 범죄까지 개입되었을 경우, 피해자는 반드시 법적 대응을 준비해야 합니다.

▶ 꼭 기억하세요:

  • 단순 분실도 상황에 따라 형사사건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 경찰 신고 및 수사 요청은 언제든 가능합니다.

  • 법률상 권리를 침해받았다면 반드시 대응하십시오.

내 소중한 정보를 보호하는 첫걸음은 정확한 인식과 대응입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

개인회생 중 기초생활수급자 신청해도 될까? 파산으로 바꿔도 되는지까지 정확히 설명드립니다

채권추심 위탁예정통지서가 도착했다면? 개인금융채권 위탁 절차와 대응법 총정리

보험사기로 몰린 중고차 수출 청년의 사례 – 보험사는 어디까지 해도 되나?